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음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2022. 3. 22. 19:52

    출처 : 바바라 호퍼의 pronounciation

     

    발음교육에서 한 분야인 연음은 말 그대로 단어를 연결하여 나는 소리입니다. 

    연음규칙이 적용되면 단어 경계선의 음성에 대한 정보가 약화되고 바로 이 때문에 학습자는 외국어를 너무 빠르다고 느낀다고 합니다. 

     

    9-1 연음교육의 이유: 청취 대 발화

    (과제 90,91)

     

    연음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연음은 문어체와 구어체에 큰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연음의 양상에 대해 학습하면 학생들의 발음이 유창해지고 학생들의 청취력에도 도움이 된다.

     연음에 대한 연습을 통해 개별 단어들이 구나 문장의 일부일 때 발음이 변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반된 견해

    Naiman은 학생들이 연음을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Brown은 학습자의 발음이 연음현상의 자연스러운 발생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반대되는 견해의 타협점을 찾기 위한 시도로서 각각의 연음규칙을 외국어 학습자에게 미치는 중요성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Roach는 듣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학습자에게 단어경계선이 불분명하게 들리는 것에 있으며 필요한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떤 연음규칙들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파악하도록 해주고, 원어민의 발음에서 접하게 될 가능성이 많은 발음 형태에 대한 올바른 예측력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한다.

     

    9-2 동화, 탈락, 연결

    (과제 92-98)

    동화 can't you should you where did you (과제 92)

    탈락

    Kenworthy는 영어에서 허용되지 않는 생략을 학습자가 적용하는 예를 들고 있다.

    탈락이 학습을 용이하게 만드는 예를 보여줌으로서 학생들이 탈락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어상의 문제와 상관없이, 탈락의 여부는 말하는 방식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축약은 학습자에게 비격식적인 구어체와 격식적인 문어체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축약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자는 축약을 일찍부터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

     

    연결

     

    연결과 연음 둘 다 한단어보다 더 큰 단위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흔히 동의어로 쓰이나 이 책에서는 연결이 두 개의 모음이나 하나의 모음과 하나의 자음이 단어경계에서 만나 일어나는 현상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더 좁다.

    많은언어가 음절말에 자음이 오는 것을 전혀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언어가 모국어인 학생은 음절말의 자음 또는 자음군을 발음하는 데 자주 어려움을 겪는다.

    단어의 연쇄에 대한 연습을 하는 것은 정확한 단어 인식뿐 아니라 음절의 재구조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CVC+VC구조가 CV+CVC 로 음절말자음이 음절초로 옮겨온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음교육  (0) 2022.03.22
    pronounciation  (0) 2022.03.22
    한국어문법 - 형용사의 특징  (0) 2022.03.22
    한국어 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0) 2022.03.22
    한국어 어순의 형태적 특징  (0) 2022.03.22
Designed by Tistory.